│금제관식(왕), 국립중앙박물관│
 
 

│금제관식(왕비), 국립중앙박물관│
 
 
무령왕릉에서 나온 왕과 왕비의 금제관식은 구당서와 삼국사기의 백제 관련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삼국사기 제24권 백제본기 제2의 고이왕 때를 보자.
 
二十八年 春正月初吉 王服紫大袖袍靑錦袴
金花飾烏羅冠素皮帶烏韋履 坐南堂聽事
 
28년(서기 261) 봄 정월초 길한 날, 임금께서 소매 넓은 자주빛 법복과 청비단 바지를 입고
금화로 장식한 오라관을 쓰고 혁대를 두르시고 오위리를 신고 궁전 남방에 좌정하시어 정사를 보고받으셨다.
 
금제관식이 금으로 제작해 관을 꾸민 것이라 하는데 오라관을 꾸민 금화金花로 본다.
금화의 디자인은 불꽃을 형상화 한 것인데, 왜 불꽃 모양으로 꾸몄을까?
불꽃은 광명을 상징하며 그 광명을 곧 신이라 여겼다.
 
고대에 제사장이자 통치자였던 임금은 우주의 통치자, 주재자이신 삼신상제님의 대행자로 천자로 불렀다.
나라의 최고 통치자인 천자의 가장 중요한 업무가 천제를 행함이다.
백성을 돌보고 살피는 근본이 대자연의 운행에 달려 있으므로 천지의 주인을 잘 섬겨야 했다. 
천지인 삼계를 다스리시는 삼신상제님께 천제天祭를 모시는 것이 임금이 행하신 정사요. 정치다.
일본에서 정치政治라는 말의 어원은 마쯔리고토まつりごと라고 하는데, 이는 제사祭事라는 뜻이다.
동서양의 고대문화에서 정치는 현대의 속화된 개념의 정치가 아니라 원래 신을 모시는 것을 말한다.
조선시대에도 임금의 가장 주요한 업무가 종사宗祀를 돌보는 것인데, 종사가 종묘와 사직이다.
 
 
곧, 임금의 복식에서 금화는 하늘의 신인 광명의 신성을 상징하는 장신구라 할 수 있다.
우리민족의 이러한 광명사상은 문화의 전반에 공통적이며 일관되게 나타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