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대릉원大陵苑 안내 간판


│경주 대릉원大陵苑 입구


│경주 대릉원大陵苑


대릉원에는 봉본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21기의 고분이 있다. 이 중에 천마총, 황남대총, 검총을 비롯해 6기의 고분이 발굴되었으며, 봉분은 남아 있지 않으며 고분 발견지라는 비석만 세워 둔 곳이 6군데 있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지배층 고분과 그 이전 시대인 단군조선의 고분의 공통점은 돌무지무덤인 적석총이다. 시대마다 조금씩 변형을 주기는 했으나 큰 틀에서는 변함이 없다. 대릉원의 고분을 봉문만 보고서는 흙무덤으로 볼 수 있으나, 천마총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알 수 있듯이 석실에 석관묘를 두고 돌무지를 쌓았으며 최종적으로 흙으로 덮었다.

│경주 대릉원大陵苑 소나무 숲


│경주 대릉원大陵苑 소나무 숲


│경주 대릉원大陵苑 미추왕릉 입구


길을 따라가면 신라 13대 왕의 미추왕릉이 있다. 미추왕(서기 262년~284년)은 김알지의 후손으로 신라 역사에서 김씨로 처음 왕에 오른 인물이다. 삼국사기 제2권 신라본기에 따르면, 어머니는 박씨로 갈문왕 이칠伊柒의 딸이다. 왕비는 석씨 광명부인光明夫人으로 조분왕助賁王의 딸이다. 미추왕의 선조인 알지閼智는 계림에서 태어났는데 탈해왕이 데려다가 궁중에서 길러 후에 왕을 보필하는 대보大輔로 삼았다. 김알지로부터 세한, 아도, 수류, 욱보, 구도로 혈통이 이어지며 구도에게서 태어난 아들이 미추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미추왕은 백성들을 위해 하늘에 제사 지내고 바다에서 망제를 지내기도 하였으며 종묘인 국조묘에 나가 선왕들에게 제사를 올리며 성군으로써 정치에 힘썼다. 재위 마지막 해인 23년에는 백제의 침입으로 고통받는 백성들을 일일이 찾아 어루만져 주었으며 그 해 겨울 붕어하시어 대릉에 장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나온다.
23년(서기 284) 봄 2월, 나라 서쪽의 여러 성을 두루 돌며 위로하셨다.
겨울 10월, 임금께서 승하하셨다. 대릉(大陵)[또는 죽 장릉竹長陵이라 한다.]에 장사 지냈다.
二十三年 春二月 巡撫國西諸城 冬十月 王薨 葬大陵[一云竹長陵]

│경주 대릉원大陵苑 검총劍塚


경주 검총은 신라 고분들 중 가장 먼저 학술적 조사가 실시된 것으로서 경주 황남동 고분군에 속해 있으며 대릉원 내의 미추왕릉 서편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고분은 1916년 일본인 고고학자 세키노關野貞 등이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때 철검鐵劍이 출토되어 검총으로 명명되었으며, ‘황남동 제100호분’으로 부르고 있다. 그런데 검총에서는 성격이 다른 유물들이 출토되어 의견이 분분하나 삼국사기 신라본기 눌지마립간 19년(서기 435)의 "역대의 능원을 고쳐 쌓았다"는 기록으로 생각해 볼 때, 검총이 가지고 있는 그런 문제점들이 어느 정도 이해될 수 있다.
19년(서기 435) 봄 정월, 커다란 바람이 불어 나무가 뽑혔다.
2월, 역대(歷代)의 왕릉을 보수하였다.
여름 4월, 시조묘에 제사 지냈다.
十九年 春正月 大風拔木 二月 修葺歷代園陵 夏四月 祀始祖廟

│경주 대릉원大陵苑


│경주 대릉원大陵苑 검총劍塚


│경주 대릉원大陵苑 검총劍塚


황남대총은 남북으로 두 개의 무덤이 서로 맞붙어 있으며, 남쪽 무덤을 먼저 만들어 뒤이어 북쪽 무덤을 잇대어 만들었다. 이들을 부부로 추정하며 신라의 쌍무덤 가운데 가장 크고 무덤의 주인들이 화려한 황금 장신구로 치장하고 있어 마립간기의 왕릉으로 보고 있다. 학계에서는 무덤의 주인공을 제17대 내물 이사금과 제18대 실성 이사금, 제19대 눌지 마립간 중 한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이주헌 국립전주박물관 학예실장이 파격적인 주장을 펴고 있다. 한반도에서 가장 큰 왕릉인 경주 황남대총이 신라의 왕과 왕비가 묻힌 무덤이 아니라 선후대의 왕이 나란히 묻혀 권력을 과시한 것이라는 내용이다. 그는 남문과 북분이 표주박 모양으로 붙은 이 거대한 쌍동이 무덤을 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볼 수 있는 논리적 근거가 없으며, 5세기 눌지, 자비, 소지 마립간으로 김씨 왕계의 세습체제가 확립되면서 왕통이 계승된 것을 나타낸 것이라고 새로운 주장을 하고 있다.

│경주 대릉원大陵苑 황남대총皇南大塚


│경주 대릉원大陵苑 황남대총皇南大塚


│경주 대릉원大陵苑 황남대총皇南大塚


│경주 대릉원大陵苑 황남대총皇南大塚 사적비


│경주 대릉원大陵苑 황남대총皇南大塚 앞 연못


천마도가 그려진 장니가 발굴된 천마총은 1만 점이 넘는 유물이 쏟아져 나왔다. 천자의 금관도 함께 출토되었다. 전 세계에 14개의 금관이 있는데, 그중 10개가 우리나라에 있다. 세계 최고이자, 최대의 금관 보유국이다. 금관은 왕관 문화의 원형이기도 하다. 신라의 문화를 추적해보면 동서 교역의 역사와 더불어 고대 한국의 뿌리를 더욱 선명하게 찾을 수 있다. 우리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지 않으면 제대로 된 역사를 알 수 없다.

│경주 대릉원大陵苑 천마총天馬塚 입구


│경주 대릉원大陵苑 천마총天馬塚 안내판


│경주 대릉원大陵苑 천마총天馬塚 내부


│경주 대릉원大陵苑 천마총天馬塚 금관金冠


│경주 대릉원大陵苑 천마총天馬塚 장니障泥


│경주 대릉원大陵苑 천마총天馬塚


+ Recent posts